2025년 제 29회 물류관리사 합격 수기(전공자 3주)
https://blog.naver.com/amethystc/223989658913
때는 바야흐로 2024년 ....
편입 이후 물류 전공 과정을 2년 만에 수료하고, 관련 자격증을 따야겠다고 생각한 나는 쿠팡에서 ‘신지원에듀 물류관리사 단기완성’이라는 책을 충동적으로 구매하고 ‘신지원에듀 물류관리사 벼락치기 핵심요약’을 시험 3주전(;;)에 결제했다.
전공자라서 그런지 용어에 익숙했고, 점수는 과락 없이 딱 합격권이 나와서 근자감에 공부를 미뤘다 ㅋㅋ(여기서부터 잘못)
결국 시험이 다가오는 7월 둘쨋주 부터 2주정도 공부를 했다. 벼락치기 강의를 1주만에 듣고 나머지 일주일은 기출을 풀었다.
결론은 딱 한 문제(2.5점) 차이로 불합격
바로 재수행 열차 탑승했습니다 ㅋㅋ
그래서 2025년에 29회 시험에 한 번 더 도전했습니다.
하지만? 사람은 쉽게 변하지 않는다.
강의는 3월 말에 결제하고 남은 학점 수강에 몰빵하느라 또 미룸 ! ㅋㅋ
그러나 3주를 정신차리고 바짝 공부한 덕에
합격 했고
간당하게 붙어서 도움은 안되겠지만 붙었으니
이벤트 참여 겸 합격 수기를 써보겠습니도도독
[수강한 강의명]
2025+2026물류관리사 절대합격반 수강
나는 기초가 부족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꼼꼼하게 학습 가능한 절대합격반이 훨씬 좋았다. 시간적 여유를 두고 꼼꼼하게 절대합격반을 듣는 것 추천 !
나는 하루 공부량 7-8시간 이 가능했기에 2주 동안 벼락치기 핵심요약과 기출문제를 제외한 139강 전부 들었다.
진도율이 낮은 이유는 2배속으로 들었기 때문 ...ㅎ
(기출문제는 필요한 부분만 스킵하면서 들음!)
[물류관리사에 도전한 이유]
앞에서도 언급했다시피 나는 물류 전공생이고, 전공을 살릴 예정이기 때문에 도전했다.
무엇보다 28회에서 아쉽게 불합격 하는 바람에 한 번더 도전함 ㅠㅅㅠ
(이걸 보시는 여러분은 한 번에 따세요... 흑흑)
[공부 기간 및 방법]
공부 기간은 2주 반 ~ 3주 정도다.
1. 물류관리론
가장 기초가 되는 과목으로, 물류관리론에서 전반적인 과목을 다루며 2, 4과목에도 매우 도움이 되었다.
공부 방법은 그냥 전반적인 개념을 꼼꼼하게 읽고 암기하는 것이다. 특히 영어 약자 ex) WMS 를 알고, 특징 외우기 이런거 중요하다. 문제 수가 많이 나오진 않지만 이런거 많이 틀리면 생각보다 점수가 훅 훅 떨어짐
2. 화물운송론
전체적인 내용은 쉬우나, 계산 문제 중 보겔추정법 / 최소비용법 / 최단거리법 등 계산 문제 포기하지 말고 꼭 숙지하기 추천 ! 3개가 전부 나올 수도 있다.
정말 내용이 어렵지 않고 한 번 터득하면 무조건 5점은 가져갈 수 있으니 꼭 꼭 숙지하기! 보겔추정법은 풀다보면 헷갈리거나 계산 실수가 날 수 있으니 연습을 많이 하는걸 추천한다.
(실제로 28회때 계산할 때마다 틀리는데 시간이 없어서 결국 찍은 기억이 ...^^)
3. 국제물류론
법규 다음으로 어려웠던 과목이다. 신용장, 무역 거래, 인코텀즈 등에서 적지 않은 문제가 나오는데 나는 이 세개를 전부 못해서 매우 힘들었다..^^ 그러나 그 중에서도 빈출이 있으므로 그거 위주로라도 하는 거 추천한다. 인코텀즈는 보다보면 외워지니 꼭 숙지하기!
4. 보관하역론
개인적으로 어렵지는 않았으나, 장비 / 지게차 등을 암기하는게 힘들었던 기억이 난다. 이 부분은 꼭 나오는 부분이니 이름과 특징을 매치하여 꼭 숙지해야 한다. 그리고 보관하역론에서 나오는 계산 문제들은 절대 어려운 편이 아니니 포기하지 말기!
EOQ, EPQ, AS/RS, 무게중심법, 단순이동평균법, 가중이동평균법, 지수평활법, ROI 등 막상 풀어보면 전혀 어렵지 않다.
나는 날잡고 한두시간 투자해서 보관하역론에 나오는 문제를 전부 풀어보며 숙지하고, 시험 전날까지 계속 반복해서 풀었다.
그 결과, 시험때 계산 문제는 한 문제도 틀리지 않았다 !
5. 물류관련법규
법규는... 딱히 할 말이 없다. 3일 벼락치기 했기 때문ㅋ
강의를 듣다보면 강사님께서 설명 하실 때 아 ~ 그렇구나, 그렇지, 그럴 수 밖에 없겠는데 ? 라고 생각이 들어 안다고 생각했다. 근데 막상 문제 푸니까 나는 아무것도 모르는 감자였다는걸 알았다.. ㅋ
이때 강사님이 항목별로 묶어서 정리하라고 하셨는데, 난 나중에 해야지~ 하고 미루다가 결국 못했고, 엄청나게 후회를 했다 ^^.. ㅋㅋ 이걸 했으면 난 안정적인 점수로 합격했을 것임 ㅎ
그래서 시험 4일전쯤 물류관련법규 정리본 공유 이런거나 검색하면서 다른 사람들이 정리한 걸 프린트하여 신지원에듀에서 제공한 요약집이랑 같이 보면서 공부함 ..ㅎ
이렇게 공부하니 고득점은 아니지만 합격이 어려워보이는 점수도 아니었다. 기록하다가 말았는데 기출은 23회 ~ 28회 풀었다.
[과목별 실제 시험 성적]
지나고 보니 평이한 시험이었지만, 시험 당시엔 긴장을 많이 한 탓에 물류관리론부터 어렵게 느껴졌다.
점수는 순서대로 70, 85, 70, 77.5, 40으로 과락 없이 평균 68.5로 합격했다.
고득점 합격도 아니고, 법규 점수가 딱 커트라인이지만 원래 이렇게 합격한게 더 달달한 법.
합격했으니 된임 ㅋ 내가 짱임ㅋ
[공부 인증 사진]
ㄴ하단 첨부
먼저, 물류관리사는 심하게 꼬아서 내는 시험이 아니기 때문에 개념을 확실하게 이해하고, 중요한 부분을 제대로 숙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서, 3주 중에 2주 정도는 개념에 투자 + 교재에 있는 기출 문제를 싹 다 풀었다.
만약 여기서 기출 문제를 많이 틀린다면, 교재를 처음부터 끝까지 읽는 것을 추천한다. 이때 확실하게 아는 부분은 빠르게 스킵하기!
틀린 문제는 오답 노트에 정리하면서 모르는 개념을 과목별로 정리하고, 시간 날 때마다 봐줬다.
이 과정을 이틀 정도 반복 한 후,
아이패드에 정리해둔 기출문제를 정확하게, 시간 안에 푸는 연습을 했다. 모르는 부분은 신지원에듀 기출문제 해설을 보며 오답 정리를 했다.
오답노트가 제일 중요하다 !!!!
내가 작년에 이거 안해서 떨어짐.
제일 귀찮은데 제일 중요함
(초딩때부터 시키는 이유가 있어..)
23회~29회까지 해설이 있어서, 답만 보고는 왜 틀렸는지 잘 모르는 나는 강의를 아주 유용하게 활용했다!
3~4일 동안 1~4과목은 23~29회를 전부 풀이했으며, 5과목은 24~29회만 풀이했다.
이미 이전에 개념 강의 + 교재에 있는 문제 풀이로 기출 문제에 익숙해져서 기출 문제만 풀 때는 생각보다 술술 풀릴 것이다.
여기서 틀리는 문제가 진짜 내가 제대로 모르는 것이고, 시간이 많이 남지 않았다면, 할 수 있을 것 같은 것은 조금 더 공부하되, 안될 것 같으면 포기해주는 것도 나름 전략이라고 생각한다.
이 정도는 모두가 아는 공부법? 공부법이라고 하기에도 애매하지만, 이 정도만 바짝 3주 해도 1~4과목은 무리가 없을 것이다.
다만, 법규가 40점이 나왔던 이유는 내가 공부할 때 더 중요한 것을 제대로 캐치하지 못했던 것 같고 무엇보다 3일 동안만 중요해 보이는 것만 봤기 때문이다 ... 강의는 전부 봤으나, 막막해서 신지원에듀에서 제공해주는 핵심 요약집만 팠고, 내가 맞춘 문제의 대부분은 이 요약잡에서 나왔다 ..ㅎ
[활용한 학습 자료 및 꿀팁 등]
나는 공부할 때 스스로 공부하면 중요한 부분을 잘 집어내는 능력이 부족해서 인강에 의존하는 편이다.
그래서 10명 모이면 할인해준다 + 유명한 것 같은 + 이미 책도 산(?) 신지원에듀 강의를 결제했다 ㅋㅋㅋㅋㅋ
근데 정말 수강하길 잘했다 ^~^
왜냐, 중요한 것을 잘 집어주고, 강의가 체계적이라 하루에 몇개 ~ 이런식으로 정해두고 공부하면 벼락치기가 아닌 이상 꼼꼼하게 공부하기 좋다. (근데 본인은 벼락치기;)
그리고 모르는 부분은 Q&A 게시판을 통해 문의하면 답변이 빨라서 좋았다.
핵심 요약집이라는 자료도 올려줘서 시험이 다가왔을때 보기 아주 좋다.
나는 단권화도 안하고 오답에서 찔끔 한 게 다라 요약집을 보는게 더 도움이 되었다. 특히 법규는 이걸로 합격한 수준
나 이거 아니었으면 법규 또 과락 맞았을거야 ...
사랑해요 신지원에듀
그리고, 무엇보다 걸레짝 만들 기세로 본 물관사 책... 정말 많이 활용했다.
가장 중요한 것은 개념 숙지와 반복이다.
그리고 기출 ! 시간이 없다면 기출을 최대한 많이 풀고 모르는 거 정리해서 암기
근데 난 야매 공부라서 큰 도움은 안될 것 같다ㅋㅋ
마지막으로, 인터넷에 나온 n일 후기, 1주일 후기 이런건 상대적으로 성공률이 낮다고 생각한다.
1년에 한 번뿐인 시험이니 전공자 기준 최소 2~3주, 비전공 기준 1개월은 투자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특히 올해는 합격률이 33%, 법규는 63%로 절대 어려운 시험은 아니지만 공부를 소홀히하면 나처럼 한 문제 차이 or 아깝게 떨어질 수가 있으니 ...
내가 쓴 글이 누군가에게 도움이 될 진 모르겠지만, 만약에 이 글을 보고 있다면 하루 빨리 시작해서 한 번에 합격하기를 ... 파이팅 !!
블로그에 더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amethystc/223989658913
